'국민적 여배우'란 무엇인가. 국가와 사회의 무엇을 표현하는가. 영화에 대한 폭 넓은 연구를 해온 요모타 이누히코 씨와 오랜 기간 아시아·중동 영화를 소개해온 이시자카 켄지 씨, 그리고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영화 비평으로 잘 알려진 사이토 아쓰코 씨가 각국의 ‘국민적 여배우’를 생각해보았다.

 

요모타 이누히코(四方田犬彦) 메이지가쿠인(明治学院)대학 교수
메이지가쿠인대학 교수로 영화사를 가르치면서 영화, 문학, 만화, 도시론 등 폭 넓은 영역에서 비평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영화사(映画史)로의 초대』『모로코 유배』. 최근 저서로는 『인생의 걸인』

 

이시자카 켄지(石坂健治) 도쿄국제영화제 아시아부문 디렉터
와세다대학 대학원에서 영화학 전공. 1990~2007년, 일본국제교류기금 전문원으로서 아시아·중동영화제 시리즈를 담당. 07년 7월부터 현직. 메이지가쿠인대학, 와세다대학 등에서 아시아 영화론을 강의. 공저 『영화 속의 천황』, 최근 저서 『어떤 기록영화 작가의 궤적-쓰지모토 노리아키(土本典昭)와의 대화』 등

 

사이토 아쓰코(斎藤敦子) 영화평론가
나라(奈良)여자대학 사회학과 철학전공 졸업. 파리에서 영화편집을 공부. 귀국 후 프랑스영화사의 선전부 근무를 거쳐 영화평론가·자막 번역가로 활약. 주요 자막 작품에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베라 드레이크』, 저서에 『시네마메모와르(cinemamemoire)』(피에르 브롱베르제 저), 『세계의 영화 로케지 대사전』(토니 리브스 저) 등

 

리샹란(李香蘭)에게는 일본을 초월한 아시아 주의가 엿보인다

 

요모타 그렇다면 일본은 어떨까요. 전쟁 전에는 하라 세쓰코(原節子), 그 후에는 다나카 기누요(田中絹代), 현재는 요시나가 사유리(吉永小百合)일까요.
예를 들면 ‘화장실에는 가지 않는다’는 말을 지금도 하고 있는 여배우가 국민적 여배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전쟁 전에 하라 세쓰코는 화장실에도 가지 않는다는 전설이 있었습니다. 저는 고등학생 시절에 요시나가 사유리를 예전에 가르친 적이 있다는 수학 선생님이 담임이 되었습니다. 누군가가 ‘요시나가 사유리도 화장실은 가겠지’라고 했더니 담임이 그 친구를 냅다 때렸습니다. ‘내가 요시나가를 가르쳤다. 화장실 따위는 절대로 가지 않는다’라고 말이죠(웃음). 이런 것이 역시 국민적 여배우라고 생각합니다.
이시자카 미묘한 위치에 있는 배우가 리샹란과 야마구치 모모에(山口百恵)일까요. 리샹란은 일본이 가장 ‘팽창’해 있던 시기에,  ‘외지(外地)’까지 포함해서 활동했던 여배우입니다.
사이토 만주영화(만주철도 영화부와 만주영화협회가 주로 만주국의 국책사업으로 제작한 영화)의 국민적 여배우이지요.
요모타 중국인들은 만주영화를 우습게 생각해서 아무도 보지 않았습니다. 그녀의 존재가 조금이나마 중국인들에게 알려진 것은, 가와키타 나가마사(川喜多長政, 전쟁 전부터 영화를 수입·배급하였고 전후에는 훗날의 도호토와(東宝東和)를 설립)의 상해전영공사(上海電影公司)에서 제작한『만세류방(萬世流芳)』에 출연한 1943년 이후였을 것입니다.
이시자카 야마구치 모모에는 앞에서도 언급했습니다만, 일본에서의 평가와 중국에서의 인기라는 흥미로운 다면성이 있습니다. 이 두 사람은 매우 흥미롭습니다.
요모타 일본은 그러한 의미에서는 여배우 연구가 상당히 재미있지요. 연구하는 보람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시자카 리샹란의 경우는 야마구치 요시코(山口淑子)로 활동하게 된 이후에는 이른바 문화대사적인 측면도 있습니다.
요모타 그녀는 분명히 일본을 상대화하는 입장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홍콩 영화나 미국의 헐리우드 영화에도 출연합니다. 거기에서 내셔널리즘을 내세우는 것도 아닙니다. 좀 더 넓은 아시아주의라고 할 수 있지요.

 

잃어버린 아름다운 일본여성으로서 하라 세쓰코를 그리워하는 것의 위험성


이시자카
요모타씨는 그야말로 하라 세쓰코와 리샹란으로 책 한 권을 쓰셨지요.
요모타 국민적 여배우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기본적으로는 하라 세쓰코라고 생각합니다. 재미있는 것은, 그때까지는 소녀 역할 밖에 하지 않았던 하라 세쓰코가 나치 독일의 감독 눈에 띄어, 그녀야말로 일본 여성의 전형이다라고 오리엔탈리즘적 시선으로 그녀를 발탁했습니다. 그로 인해 비로소 미모가 알려졌고 신화가 된 것입니다. 그러자 역시 서양인의 피가 섞여 있다는 소문이 납니다. 그러한 외부의 시선이 그녀를 국민적 여배우로서 신성한 존재로 만들어 왔습니다. 이것이 일본의 독자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시자카 하라 세쓰코는 전후에도 오즈 야스지로(小津安二郎)의 작품을 비롯하여 많은 영화에서 강렬한 아우라를 계속 발산해왔습니다.
요모타 아름다운, 과거에 존재했던 잃어버린 아름다운 일본 여성이지요.
이시자카 그렇다면 국가는 군국주의에서 민주주의로 바뀌었다고 해도, 국민적 여배우의 ‘상(像)’은 변하지 않았다는 얘기가 될까요.
요모타 전쟁 중에 그녀는 파시즘의 권화(権化)이니까요. 오즈는 자신의 그것을 관철시킨 사람입니다. 현재의 오즈에 대한 노스텔지어 붐에는 일본의 문화내셔널리즘으로 상당히 미심쩍은 것을 느낍니다. 그것은 하라 세쓰코에 대해서 느끼는 의문이기도 합니다. 향수라고 할 수 있지요. 그런 부분도 포함해서 저는 하라 세쓰코야말로 일본의 국민적 여배우에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야마구치 모모에의 짧은 배우인생이 신화화되다


사이토 제 생각에는 다카미네 히데코(高峰秀子)가 국민적 여배우가 아닐까 합니다. 일본인들은 모두 『스물 네 개의 눈동자』와 『기쁨도 슬픔도 하세월』을 보러 가서 눈물을 흘렸습니다.
요모타 하지만 다카미네 히데코의 영화로 보았을까요. 인도네시아나 필리핀, 일본에서도 서양사람처럼 생긴 여성이 아름다운 여성이라는 가치관이 계속 있었지만, 다카미네 히데코에 대해서는 그런 신화가 한번도 성립되지 않습니다.
하라 세쓰코와 야마구치 모모에, 혹은 리샹란도 그렇고 “외국인 피가 섞여있으니까 저렇게 예쁜거야”라는 말을 듣습니다. 저는 일본 근대 속의 우상과 아이돌화는, 반드시 외부로부터의 시선이 개입되어야 했다는 것이 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호적까지 조사해보았는데, 하라 세쓰코는 혼혈이 아닙니다. 하지만 그런 소문이 나는 게 국민적 여배우가 되는 조건이라는 것이 일본적인 패러독스이며 또한 아시아적 현실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이토 야마구치 모모에는 국민적 여배우라고 생각합니다. 그녀는 나왔을 때부터 신비스러웠습니다. 노래를 부르고 영화와 방송에 출연하다가 신화적인 존재에서 갑작스레 은퇴해버렸구요.
요모타 야마구치 모모에는 특별히 굉장한 배우라고 생각합니다. 에디트 피아프 만큼 오래 활약하지 않은 것이 아쉽지만 말입니다.
사이토 그러한 과감성은 하라 세쓰코와도 통하는 부분이지요.
요모타 노스텔지어라는 점에서는, 아마 야마구치 모모에도 이대로 가면 하라 세쓰코처럼 되지 않을까요. 다만, 한 사람의 여배우가 14살부터 20살까지 6년간 활동하고 그만두는 것은 상당히 아깝습니다. 다나카 기누요는 한 사람의 여배우로서, 빵가게의 14살 소녀에서부터, 『고사기(古事記)』에서는 히에다노 아레(稗田阿礼)역을 했고, 『산쇼다유(山椒大夫)』에서 영락한 노파역까지 했습니다. 이것은 여배우로서 위대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야미구치 모모에 앞에서는 일본영화가 그녀의 신화를 지탱하기도 전에, 진작에 주눅이 들어 포기해버린 것 같은 무참함을 느낍니다.
이시자카 다나카 기누요는 그야말로 원조 『이즈의 무희』이고, 각 연대마다 대표작이 있습니다.

 

공식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일본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요시나가 사유리


요모타 그러면 다나카 기누요와 요시나가 사유리를 비교할 수 있을까요. 국민적 여배우는 연기력과 국제적인 지명도보다,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체현한다는 의미에서는 요시나가 사유리처럼 스테레오타입의 멜로드라마에 출현하여 주역을 연기할 수 있다는 것 역시 위대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점에서 다나카 기누요는 진보적인 전후 민주주의라고 할까요, 문제작에 무심코 출연해버리는 위험성이 있습니다. 요시나가 사유리는 반드시 메이저 영화에서 깨끗하면서도 가난한 청초한 역할을 합니다. 게다가 그것이 공식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일본의 이미지이지요.
사이토 요시나가 사유리는 국민적 여배우도가 높다는 느낌입니다. 다나카 기누요는 전쟁이 끝난 후에 모던한 여성으로 변신하여 세상을 놀라게 하고, 전후 여성상을 체현했다는 의미에서 국민적 여배우라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요시나가 사유리에는 뒤지는 것 같은데요.
요모타 요시나가 사유리의 초기 작품 『Man in Lightning(拳銃無頼帖 電光石火の男)』에서는 아카기 케이이치로(赤木圭一郎)의 여동생 역할이었습니다. 대체로 여동생 역할이 많습니다. ‘내 동생과 결혼해 주겠나’라고 할 때의 여동생역입니다. 남자들 사회에서 물물교환의 대상이 되는 여성 역할이지요.
이시자카 하지만 작품자체는 세계에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사이토 로컬하지만 그 점이 국민도가 높다는 것이지요. 내셔널한 여배우는 인터내셔널하게 되어서는 안 될 지도 모릅니다.
요모타 90년대 초반에 단바 테쓰로(丹波哲郎)의 『대영계(大霊界)』가 화제를 모았습니다. 저는 그 영화가 일본인의 종교관, 생사관(死生観)의 최대공약수를 제시한 중요한 필름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영화 중에서 천국의 광대한 꽃밭 중앙에 좌정한 여신을 연기한 것은 주디 온그(Judy Ongg)였습니다. 저는 이 사람이야말로 일본인이 안심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여신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우선 아시아적인 복스러운 인상을 하고 있습니다. 요시나가 사유리가 극락의 중심에 있다는 것은 아무래도 좀 이상하죠. 역시 주디 온그입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국민적 여배우가 되기 위해서는 『도라상』시리즈에 출현하는 것이 필수조건이 아닐까요. 오카다 마리코(岡田茉莉子)는 지금까지 꼽은 여배우 중에서도 빼어나게 미인이지만 도라상에 출연하지 않았습니다. 국민적 여배우도 될 수 없지요. 왜냐하면 아나키스트인 이토 노에(伊藤野枝)역을 했으니까요. 그 점에서 바이쇼 치에코(倍賞千恵子)는 흥미롭습니다. 언제나 영원한 여동생입니다. 어쩌면 국민적 여배우인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그 이후는 어떤가요?
이시자카 지금은 영화에서 오랜 시간을 들여 커리어를 쌓아가는 것이 지극히 어려워졌습니다. 한 촬영소가 여배우들을 로테이션으로 지속적으로 기용하는 시스템이 벌써 예전에 없어져 버렸으니까요.
사이토 옛날에는 영화배우라는 이미지가 있었지만, 지금은 아무나 영화배우라고 하는 시대이지요.
요모타 결론적으로 이렇게 말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국민적 여배우가 필요한 사회와 필요하지 않은 사회가 있다, 즉 국민적 여배우가 존재하는 사회와 존재하지 않는 사회가 아니라, 국민적 여배우를 필요로 하는 사회와 필요로 하지 않는 사회. 예를 들어 한국이나 필리핀, 혹은 인도네시아, 또는 어떤 시기의 일본은 그것을 맹렬히 필요로 했습니다.
그런데 프랑스처럼 필요로 하지 않는 나라도 있고, 미국처럼 성립하지 않는 나라도 있습니다. 브레히트가 영웅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다라고 했습니다만, 국민적 여배우에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をちこち」제21호(Feb./Mar.'08)에서 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