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적 여배우'란 무엇인가. 국가와 사회의 무엇을 표현하는가. 영화에 대한 폭 넓은 연구를 해온 요모타 이누히코 씨와 오랜 기간 아시아·중동 영화를 소개해온 이시자카 켄지 씨, 그리고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영화 비평으로 잘 알려진 사이토 아쓰코 씨가 각국의 ‘국민적 여배우’를 생각해보았다.

 

요모타 이누히코(四方田犬彦) 메이지가쿠인(明治学院)대학 교수
메이지가쿠인대학 교수로 영화사를 가르치면서 영화, 문학, 만화, 도시론 등 폭 넓은 영역에서 비평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영화사(映画史)로의 초대』『모로코 유배』. 최근 저서로는 『인생의 걸인』

 

이시자카 켄지(石坂健治) 도쿄국제영화제 아시아부문 디렉터
와세다대학 대학원에서 영화학 전공. 1990~2007년, 일본국제교류기금 전문원으로서 아시아·중동영화제 시리즈를 담당. 07년 7월부터 현직. 메이지가쿠인대학, 와세다대학 등에서 아시아 영화론을 강의. 공저 『영화 속의 천황』, 최근 저서 『어떤 기록영화 작가의 궤적-쓰지모토 노리아키(土本典昭)와의 대화』 등

 

사이토 아쓰코(斎藤敦子) 영화평론가
나라(奈良)여자대학 사회학과 철학전공 졸업. 파리에서 영화편집을 공부. 귀국 후 프랑스영화사의 선전부 근무를 거쳐 영화평론가·자막 번역가로 활약. 주요 자막 작품에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베라 드레이크』, 저서에 『시네마메모와르(cinemamemoire)』(피에르 브롱베르제 저), 『세계의 영화 로케지 대사전』(토니 리브스 저) 등

 

사회 분위기와 세계관, 여성관을 체현하는 국민적 여배우


요모타 사실 저는 최근 10년 동안 예술주의적, 작가주의적 영화에 거의 흥미가 없어졌습니다. 국제영화제에서 수상을 한, 일부의 인텔리들 밖에 보지 않을 것 같은 작품만 봐서는 알 수 없으며, 그 장소에 직접 가서 오래 체재하면서 현지의 로컬 영화를 보지 않고는 알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 때 사회 전체의 공통된 집합적 분위기나 세계관, 인생관, 또는 여성관을 체현하고 있는 여배우는 어디에나 있을 것이고, 과거에도 미래에도 있을 것입니다. 그런 여배우를 관찰함으로써 영화에 대한 어떤 본질적인 것을 이야기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혹은 반대로 그 국가의 사회 성격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막연하게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국민적 여배우’라는 말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국민적 여배우를 보면 그 사회가 영화에서 무엇을 요구하며, 여성에게 무엇을 기대하는가, 또는 어떤 인물이 그 사회와 민족, 국가의 이상으로 삼는 규범적인 여성인지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미인 대회처럼 그 나라에서 가장 예쁜 여배우를 국민적 여배우로 부를 수 있을까요,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국제적 지명도가 높은 여배우가 국민적 여배우인가 하면 그렇지도 않습니다. 국민적 여배우는 반드시 연기력이 탁월한 배우일 필요도 없고 마릴린 먼로처럼 한 시대의 섹스 심벌이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젠더를 초월하고 남녀노소를 초월하여 국민적으로 사랑받는 여배우입니다.
저는 국민적 여배우라 불리는 사람의 첫번째 조건은 자신이 국민적 여배우라는 것을 분명히 자각하고 있는 사람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춘향전』이 영화화될 때마다 그 시대의 국민적 여배우가 출연


좌) 최은희 주연의『성춘향』포스터
우) 1961년에 한국에서 만들어진 김지미 주연의

   『춘향전』

이시자카
저는 오랫동안 일본 국제교류기금에서 아시아중동영화제 프로그램을 짜왔습니다. 국민적 여배우라는 테마로 추진한 적은 없지만, 지금 되돌아 보면 어떤 기획에서나 국민적 여배우라 불리는 대스타가 등장하는 필름이 있었습니다.
특히 그 나라에서 여러 차례 리메이크되는 이야기와 거기에 출연하는 여배우의 관계가 매우 흥미롭습니다.
요모타 일본에서 보자면 『이즈의 무희』『춘금초(春琴抄) 』를 들 수 있겠네요.
이시자카 이웃나라 한국부터 살펴보면, 일본국제교류기금에서도 2001년에 요모타씨와 함께 ‘『춘향전』영화의 계보’라는 상영회와 심포지움을 개최한 적이 있었습니다. 영화사적으로 볼 때 춘향전은 여러 차례 리메이크되었습니다. 원래는 전통 예술인 판소리(소리꾼과 고수, 2명으로 이루어지는 창극)의 하나로, 조선왕조 시대의 정숙한 여성을 칭송하는 이야기입니다.
1950년대 후반 한국전쟁 이후 부흥해가던 시기에 이 이야기는 국민을 통합하는 규범이 되었습니다. 거의 해마다 춘향전 이야기가 스크린을 달구었고, 그러한 분위기의 정점이었던 61년에는 춘향전 영화 두 작품이 경쟁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그야말로 당대의 투 톱 여배우였던 최은희(崔銀姫)가 『성춘향』에서, 김지미(金芝美)가 『춘향전』에서 주연을 맡았습니다.
요모타 최은희, 김지미라는 2명의 국민적 여배우가 서로 경쟁했던 한국은 정말 행복한 나라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 두 분은 경력도 화려하며 현재까지 군림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주요 예술적 작품에는 그녀들이 출연하고 있으며, 는 한국영화인협회 회장까지 맡고있습니다. 자신이 국민적 여배우라는 분명한 자각을 갖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춘향전』은 남북한 양쪽에서 여러 차례 만들어졌습니다. 이는 멜로드라마는 정치체제와 이데올로기를 초월한다는 테제를 입증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시자카 제가 알고 있는 한국인 여성은 어렸을 때 착한 일을 하면 ‘너는 춘향이처럼 착한 아이구나’라는 말을 자주 들었다고 합니다.
요모타 그것은 아마도 남북한 모두 마찬가지였으리라 생각합니다. 춘향이라는 캐릭터가 여성의 규범이 되어 있습니다. 여자는 남자를 따르고 정절을 지켜야 한다는 유교적 이데올로기를 춘향이라는 캐릭터가 지탱해왔습니다. 관점에 따라 그것은 여성에 대한 억압적인 원리이기도 했습니다. 춘향이처럼 고난을 참고 견뎌내면 남자가 출세해 돌아와서 구해준다는 것이니까요.

 

임권택의 춘향전이 국민적 여배우를 낳지 못했던 이유


요모타 그 이후 70년대에서 80년대는 유지인(兪知仁), 정윤희(丁允姫), 장미희(張美姫)라는 3명의 여배우가 활약하던 시대였습니다. 장미희는 『춘향전』으로 데뷔한 마지막 세대였습니다.
이시자카 장미희가 출연한 76년 『성춘향전』을 보면, 거의 아이돌 영화같이 촬영해서 춘향의 장중한 분위기는 전혀 없습니다. 그 이후, 『춘향전』의 영화화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춘향을 연기한 배우가 스타가 되는 마지막 세대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요모타 90년대에는 춘향전의 애니메이션 작품이 만들어졌고, 2000년에는 임권택(林権澤) 감독이 『춘향전』을 만들었습니다. 이야기의 춘향과 같은 16살 신인 이효정을 기용했는데 그녀는 국민적 여배우가 되지 못했습니다.
이시자카 임권택의 『춘향전』은 포스트 모던이라고 할까요, 액자 구조로 되어있어서 판소리 무대가 처음에 나오고 판소리의 이야기 형태로 『춘향전』이 그려집니다. 춘향이라는 이야기를 어떻게 부활시킬 것인가, 메타 레벨의 외적인 면을 보면 분명 그때까지의 춘향전과는 다른 작품이 만들어졌습니다. 21세기 『춘향전』의 바람직한 모습이라 생각합니다만, 이제 더 이상 국민적 여배우가 춘향역에서 탄생하지 않게 되었다는 점도 알게 되었습니다.
요모타 현재 한국의 국민적 여배우는 누구라고 할 수 있을까요. 최지우(崔志宇)일까요. 아니면 국민적 여배우는 한 시대의 영화 산업에서 성립하는 것이고, 어느 시대에나 반드시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을까요.
이시자카 한국을 보면 후자라고 생각합니다. 국민적 여배우가 성립하지 않는 시대, 성립하기 어려운 시대가 있으며, 그것은 아마도 근대화의 문제와 국가 내셔널리즘의 문제 등과도 관련된다고 생각합니다.

 

「をちこち」제21호(Feb./Mar.'08)에서 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