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이벤트

Culture

    • 제목 우키요에 황금기 - 미인화와 풍경화의 세계
    • 기간 -
    • 장소 -
    • 담당부서 -
    • 일 시 : 2006년 3월 16일(목) ~ 4월 22일(토) 무료관람          월ㆍ화ㆍ수ㆍ토 / 11:00-18:00          목ㆍ금 / 11:00-20:00          일ㆍ공휴일 / 휴관장 소 : 본 센터 이연홀주 최 : 일본국제교류기금 서울문화센터협 력 : 야마구치현립 하기미술관ㆍ우라가미기념관(Hagi Uragami Museum),           (재)아다치전통목판화기술보존재단문 의 : Tel.02-397-2820/2823   일본국제교류기금 서울문화센터는 2004년 8~9월에 개최하여 호평을 받은「우키요에 전」에 이은 2번째 우키요에 전시회로 <우키요에 황금기 – 미인화와 풍경화의 세계>를 개최한다. 일본을 대표하는 미술인 우키요에는 17세기 에도시대(1603-1867)에 탄생한 풍속화로 친필화와 목판화가 있으며, 단순한 선과 밝은 색채, 대담한 구도를 사용하여 기녀, 가부키 배우, 명승지 등이 그려졌다.   일본어로 <우키요>는 “이 세상”, <에>는 “그림”을 뜻하는 서민 문화였던 우키요에의 예술적 가치는 유럽에서 발견되었다. 우키요에를 비롯한 일본미술이 1867년 파리만국박람회에 처음 소개되자 유럽인들은 신선한 감동과 함께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 후 19세기후반 유럽에서는 “일본풍”, 즉 “자포니즘”이 크게 유행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마네, 모네, 고흐, 에밀 가레, 로트렉, 드가 등 인상파 화가와 아르누보의 작가들은 우키요에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또 이번에 전시되는 <카메이도텐진 경내>는 모네의 유명한 연작인 <수련의 연못>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전 전시회에서는 우키요에를 체계적으로 소개할 수 있도록 <우키요에의 제작과정>, <초기의 우키요에>, <가부키 배우>, <화조화> 등 테마 별로 전시하였으나, 본 전시회에서는 우키요에가 황금기로 불릴 만큼 성장한 에도시대 후기(19세기 전-중반)의 미인화와 이 시기에 새로운 우키요에로 탄생한 풍경화에 초점을 맞췄다.   우키요에는 에도시대 후기에 전성기를 맞이하게 되는데, 그 계기가 된 것은 <니시키에(錦絵)>라 불리는 다판다색(多版多色)의 목판화 기법으로 제작된 우키요에의 등장과 확립이다. 본 전시회에서는 선명한 색채와 섬세한 표현이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이 니시키에의 걸작 중에서 55점을 선정하였는데, 최근 1~2년 사이 한국에서 점차 우키요에가 알려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우키요에 및 에도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한 자료도 준비하였다.   ▲ (연작) 쵸분사이 에이시 作 <청루의 게이샤들>   <미인화>니시키에 미인화로 대성하여 이후의 확고부동한 지위를 얻게 된 기타가와 우타마로가 유명한 이유는 당시만 해도 전신상으로만 그려졌던 미인화를 여성의 상체나 얼굴 만을 클로즈업하면서 얼굴의 개성은 물론 감정까지 표현했기 때문이다.절정기의 우타마로의 작품 외에 그와 함께 황금시대를 구축한 화가 및 그들의 제자들이 그린 걸작 등 에도의 화려했던 유곽문화가 반영된 요염한 미인화를 소개한다.   <풍경화>풍경화 붐을 불러일으킨 대표적인 화가가 가츠시카 호쿠사이와 우타가와 히로시게다. <후가쿠36경> 시리즈를 그려낸 가츠시카 호쿠사이는 풍경에 항상 자신의 의사까지 반영시켰다. 때로는 현실적이지 못한 묘사도 있었으나 그 만큼의 박력도 있다. 한편으로 <도카이도53역>, <명소에도백경> 각 시리즈로 잘 알려져 있는 우타가와 히로시게는 자신이 본 풍경의 매력을 자연스럽게 표현하여 보는 이들이 친숙함과 공감대를 느끼는 작품이 많다. 두 작가의 특색이 잘 나타난 인상적인 작품을 중심으로 전시한다.   ▲ 우타가와 히로시게 作 <명소에도백경/아사쿠사킨류산 카미나리문>, <도카이도 53역/누마즈>   본 전시회의 모든 작품은 에도시대의 전통기술을 이어받은 현대 우키요에 장인이 제작한 것인데, 이를 복각화라 하며 소위 말하는 복제 혹은 모조품과는 다르다. 이 작품들은 주로 (재)일본우키요에박물관이 소장하는 초판 우키요에(최초로 제작된 원판으로 인쇄된 처음 수백 장을 가리킴)에 의거한 복각화로 이들을 통해 황금기의 화려하고 성숙한 우키요에 문화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작품해설
맨위로 오늘 하루 닫기

이용약관 팝업 닫기

개인정보보호정책 팝업 닫기

SNS운영방침

SNS운영방침 팝업 닫기

일본어능력시험(JLPT) 저작권 안내

JLPT저작권안내 팝업 닫기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팝업 닫기

사이트맵

센터소개
사업소개
문화이벤트
연수·지원
강좌
ETC
사이트맵 팝업 닫기